IT/Python

[Python] 파이썬의 시작 - print 와 변수 (+ replit 사용법)

김알찬 2022. 3. 28. 14:14

첫 번째로 이야기할 것은 출력의 기본인 print와 변수입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파이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로컬에 직접 파이썬을 깔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추천하는 방법은 온라인 개발 환경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저 역시 파이참, 구글 코랩, 주피터 노트북, 리플 등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처음 기초를 익힐 때는 복잡하게 다운로드할 것 없이

인터넷 접속만으로 사용 가능한 replit을 사용했습니다.


replit 사용법 (리플릿)

 

위 사진을 클릭하면 리플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회원가입 (Sign up)을 하고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후 좌측 상단의 +Create a repl 버튼을 누르고 Python을 선택하고

repl의 이름을 임의로 정한 뒤 4번째 +Create a repl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와 같은 화면이 보인다면 이제 코드를 입력할 환경이 준비된 것입니다.

 

 

# print()

 

작업 영역에 작성하자

 

파이썬에서 print()는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위 이미지와 똑같이 작업 영역에 타이핑을 하고 상단의 녹색 RUN 버튼을 눌러봅시다.

첫 번째 줄의 #파이썬 프로그램 시작 같은 경우 "주석"이라고 부릅니다.

주석은 프로그램 실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줄로

보통 코드를 짜며 각 부분마다 설명이나 메모를 남기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두 번째 줄인 print('이름을 알려주세요') 는 화면에 '이름을 알려주세요'를 출력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입니다. 파이썬은 위에서부터 한 줄씩 명령을 진행하기 때문에 2번째 줄의 명령인 출력을 완료하면 3번째로 넘어갑니다.

3번째는 name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입력값을 할당한다는 명령입니다.

위 코드를 적고 Run을 눌러보면 '이름을 알려주세요' 와 함께 아랫줄에서 커서가 대기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는 input 명령을 실행 중인 것으로 input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함수입니다. 쉽게 말해 이용자가 입력하는 값을 사용하겠다는 뜻입니다. 자유롭게 이름을 입력하면 그 입력값은 name 변수에 할당된 것입니다.

마지막 줄은 이렇게 입력값을 할당받은 name과 '님 반갑습니다'를 함께 결과 화면에 출력하는 것입니다.

만약 앞서 홍길동이라고 입력을 했다면 최종적으로 출력은 홍길동 님 반갑습니다 라고 나올 것입니다.

결과 화면

 

 


# 변수

변수 선언과 할당

변수는 하나의 값을 쓰고, 읽을 수 있는 이름을 가진 공간입니다.

변수를 선언한다 = 공간을 만들고 이름을 붙이는 것

이미지 속 상자들의 이름을 붙이는 것을 변수를 선언한다고 합니다.

변수에 값을 할당한다 = 공간에 내용물을 넣는 것

각 상자에 4, 2.5, "a", "hello" 와 같은 내용물을 넣는 것을 변수에 값을 할당한다고 합니다.

앞서 작성한 코드에서 우리는 name이라는 상자를 만들어

input을 통해 입력값을 name에 할당해 주었습니다.


# 변수 사용 기준

변수 이름 예시

변수의 이름 같은 경우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지만 몇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알파벳, 숫자, 밑줄 기호, 한글은 사용이 가능하지만

띄어쓰기, 연산자, 숫자 (혼합 없이 단독 사용, 숫자로 시작), 내장 함수명 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통 코딩을 할 때는 코드가 길어지고 원하는 변수를 빠르게 찾고 사용하기 위해 간단하지만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이름을 할당하는 변수는 name, 나이를 할당하는 변수는 age라고 이름을 짓는 것이 찾고 이해하기 쉽다는 의미입니다.